728x90

스스로 복습하는 느낌으로 알고 있는거 정리.

사용전에 장갑은 반드시 벗자.
정반은 매끄럽게 유지하기.(녹 제거제, wd-40...)
1mm이상 밀지 말기.
안전 커버 잘 조절하기.
부재가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처음, 중간, 끝 손위치와 압력 신경쓰기.
끄떡거리지 않는 방향으로 놓기.
두께를 많이 남겨야 할 경우 방향에 따른 휨 정도를 보고 조금만 날릴 수 있도록 밀기.

728x90
728x90

도마 마감
플레이팅 도마는 표면 도막 ok
칼도마는 칼질로 인해 표면에 충격이 가해지기 때문에 도막을 만들지 않는 형태의 마감을 한다. 특히 부패가 없는 오일류를 써야한다고. 미네랄오일, 생들기름, 아마씨유 등.

마구리면이 위로 올라오게 나무를 자르고 붙여 만든 도마를 엔드그레인도마라고 한다. 무늬가 독특하고 제작과정에서 손이 많이 가는 도마다.

처음 엔드그레인도마에 대해 안 건 목공 학원에서. 그곳에서 설명하시길 엔드그레인 도마는 플레이팅 도마지 칼도마로는 추천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 이유로
1. 제작과정에서 본드가 어마어마하게 사용됨
2. 나무의 특성상 마구리면으로 액체류가 배이기 쉬운데 칼을 써서 표면 마감 보호가 깨지면 음식물로 인한 표면오염이 일반 나무도마보다 쉬움.

그런데 요즘 자격증 수업을 들으러 다니는 공방에서는 엔드그레인도마를 칼도마로 쓰면 일반도마는 못쓴다고 하는 말씀을 해주셨다. 칼이 도마에 닿았을 때의 느낌이 다르다고 한다. 또 나무의 마구리면이 칼에 패였을 때 일부 회복하기도 한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신기.
위에서 엔드그레인도마를 칼도마로 추천하지 않는 이유로 쓴 본드와 마감재 등에 대해 물어보니 식기용으로 제작된 본드와 마감재 등을 쓴다고 한다. 그래서 엔드그레인 도마는 제작과정도 품이 많이 들지만 재료비도 비싸다고 한다.

글로 쓰면서 어렴풋이 스스로 정리된 점.

일반인은 굳이 비싼 엔드그레인도마를 칼도마로 쓸 건 없다.
그러나 전문 요리인들은 장점이 있다면 요리사의 장비인 도마를 비싼 값을 주고 엔드그레인도마를 칼 도마로 쓸 수 있다.

는 게 아닐까 하는 추측.

그래서 엔드그레인도마에 대해 상충하는 것 같게 들리는 사용법들이 있지 않을까? 아니면 처음 학원에서도 엔드그레인도마의 칼도마 사용에 대해 설명해줬지만 내가 잊어버린걸지도 모르겠다.
더 자세히 찾아보지는 않고 그냥 내가 들은 얘기들을 정리했을때 떠오른 뇌피셜이다.
의욕이 난다면 나중에 더 찾아보자.

728x90
728x90

1. 샌딩과 스테인칠. 크게 다칠 위험이 적은 반복업무부터 시작.

2. 각절기 다루기. 이때 트리머, 직쏘 등 전동공구 조금씩 맛보기.

3. 테이블 쏘 다루기. 원형톱, 플런지쏘 등 함께 다루고 사용.

2~3 과정에서 먼저 익힌 분이 안전히 작업하는지 관찰하며 함께 보조&도움.

4. 직접 만들어야 할 가구 치수 산출하기.
처음엔 구조를 익히고 직접 그려가며 눈으로 보고 적고 계산하는거부터 시작.
가구의 구조를 잘 생각해야함.
계속 반복 연습해서 나중엔 가구의 구조를 머리속에서 그리며 치수를 뽑을 수 있으면 베스트.

5. 직접 구조를 고려해서 형상을 설계하고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

여기까지 갈 수 있을까. 언제까지 일할 수 있을지 몰라도 최선을 다해보자.

728x90

'목공 공부 > 자문자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압대패 사용법  (0) 2024.12.10
엔드그레인도마?  (0) 2024.11.16
임팩 사용 요령.  (0) 2024.08.07
본드의 번호가 뜻하는 것.  (0) 2024.08.07
무거운 문을 달 때 쓰는 경첩은?  (0) 2024.06.21
728x90

따라락 소리가 날 때까지 박는 것이 정상.

손목이 돌아가지 않도록 어깨와 팔뚝을 잘 쓰자.

한줄로 피스결합 시 한쪽이 덜 붙은 경우 눌러보면 휘어있음. 체크하며 박기.

임팩 피스 박을때 따라라락 소리가 계속나도록 하는것보다 따락, 따락, 따라락. 끊어서 박으면 피스가 나무를 당겨오는 힘은 있으면서 너무 나무에 깊이 박혀 지지력이 약해질 수 있는 경우를 일부 예방.

728x90
728x90

본드의 번호 맨 뒷자리는 점도의 차이. 작을수록 수분이 많아 묽고, 클수록 본드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끈적하다.

중간자리는 건조의 속도라고 한다. 작을수록 빠른 경화, 클수록 느린경화를 한다.

앞자리는 용도에 따라 붙는다고 한다. 자세한건 잘 모르겠네...

예를들어,
오공본드 200~201은 접착력은 비교적 약해도 괜찮지만 넓게 바르고 빨리 말라야하는 벽지 같은 재료를 접착할때 사용하고, 205는 마르는데 201보다 오래걸리지만 단단히 결합해야하는 목재를 접합하는데 쓴다.

둘다 중간자리가 0인걸 보면 같은 점도를 가진 본드들 중에선 건조가 빠르다는 걸까.

록타이트 순간접착제의 번호는 401.

728x90
728x90

방화문 경첩, 분리형 경첩을 쓸 수 있다. 용접 또는 피스결합한다.
끼워서 얹는 방식. 기울어짐에 덜하다고 한다.
문 수리나 교체도 용이할듯.

728x90

+ Recent posts